--
  • FTA일반
    • FTA 개념
    • FTA 주요 내용
    • 전세계 FTA 체결현황
  • 우리나라의 FTA
    • FTA정책요약
    • 현황
    • 발효
      • 한-칠레 FTA
      • 한-싱가포르 FTA
      • 한-EFTA FTA
      • 한-ASEAN FTA
      • 한-인도 CEPA
      • 한-EU FTA
      • 한-페루 FTA
      • 한-미 FTA
      • 한-터키 FTA
      • 한-호주 FTA
      • 한-캐나다 FTA
      • 한중FTA
      • 한-뉴질랜드 FTA
      • 한-베트남 FTA
      • 한-콜롬비아 FTA
      • 한-중미 FTA
      • 한-영 FTA
      • 역내 포괄적 경제 동반자협정(RCEP)
      • 한-이스라엘 FTA
      • 한-캄보디아 FTA
      • 한-인도네시아 CEPA
      • 한-싱가포르 DPA
    • 서명/타결
      • 한-필리핀 FTA
    • 협상중
      • 한중일FTA
      • 한-에콰도르 TA
      • 한-MERCOSUR FTA
      • 한-러시아 FTA
      • 한-말레이시아 FTA
      • 한-우즈베키스탄 STEP
    • 재개개시여건조성
      • 한-멕시코 FTA
      • 한-PA FTA
HOME > 우리나라 FTA > FTA 일반 > 전세계 FTA 체결현황

전세계_FTA_체결현황

  • 프린트하기
전세계 FTA 체결현황전세계 FTA 체결현황 파일 다운로

'22년 06월 기준 (국가별 FTA 관련 홈페이지 참고)

전세계 FTA 체결현황
국가명 기체결 협상중 검토중
일본 (발효) 싱가포르 EPA, 말레이시아 EPA, 칠레 FTA, 태국 EPA, 인도네시아 EPA, 브루나이 EPA, 필리핀 EPA, ASEAN EPA, 스위스 EPA, 베트남 EPA, 인도 EPA, 페루 EPA, 호주 EPA, 몽골 EPA,
멕시코 EPA, TPP12, TPP11, EU EPA, US EPA, UK EPA, RCEP
(협상중) 콜롬비아 EPA, 한중일 FTA, 튀르키예 EPA

(협상재개 · 개시 여건조성)
한국 FTA, GCC FTA,
캐나다 EPA
 
중국 (발효 및 서명) RCEP, 캄보디아,
모리셔스, 몰디브, 조디아, 호주,
한국, 스위스, 아이슬란드, 코스타리카, 페루, 싱가포르, 뉴질랜드, 칠레, 파키스탄, 아세안, 홍콩,
마카오
(협상중) GCC, 노르웨이, 한중일, 스리랑카,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몰도바, 파나마

(후속 및 개선 협상) 한국, 페루
콜롬비아, 피지, 네팔,
캐나다, 방글라데시, 몽골, 파푸아뉴기니, 스위스
대만 파나마, 과테말라, ECFA,
니카라과, 뉴질랜드, 싱가포르,
온드라스·엘살바도르, 파라과이,
마셸제도, 에스와이티, 벨리즈
   
ASEAN (발효 및 서명) 중국, 일본, 홍콩,
한국, 인도, 호주·뉴질랜드, 홍콩, RCEP
   
싱가포르 싱가포르, EU, 인도, 일본, 한국, 뉴질랜드, 파나마, 페루, 호주, 코스타리카, 요르단, 스리랑카, 튀르키예, 영국, US, CPTPP, EFTA, GCC, TPSEP, ASEAN, RCEP EAEU, PA  
인도네시아 ASEAN 전체차원(한국, 중국, 일본, 호주·뉴질랜드, 인도), AFTA, 일본    
베트남 (발효 및 서명) ASEAN 전체차원, 일본, 칠레, 한국, VCU, TPP, EU, EFTA, RCEP, 쿠바, 영국    
말레이시아 ASEAN 전체차원(한국, 중국, 일본, 호주, 뉴질랜드, 인도), AFTA, 일본, 파키스탄, 인도, 뉴질랜드, 칠레, 호주, 튀르키예, CPTPP, RECP (협상중) EU  
인도 아세안, APTA, 칠레, GSTP, 아프가니스탄, 부탄, 일본, 말레이시아, 모리셔스, 네팔, 싱가포르, 스리랑카, 태국, UAE, 한국, SAFTA, SAPTA, 메르코수르, 호주(발효예정)    
미국 (발효) 호주, 바레인, 캐나다, 칠레, 콜롬비아, 코스타리카, 도미니카, 엘살바도르, 과테말라, 온두라스, 이스라엘, 요르단, 한국, 멕시코, 모로코, 니카라과, 오만, 파나마, 페루, 싱가포르    
캐나다 CPTPP, 칠레, 콜롬비아, EFTA, EU, 온두라스, 이스라엘, 요르단, 한국, NAFTA, 파나마, 페루, 우크라이나, 미국, 코스타리카, 영국 CARICOM, 도미니카, 엘살바도르, 과테말라, 니카라과, 인도, 일본, 메르코수르, 모로코, CUSMA, PA, 인도네시아, ASEAN 중국, 필리핀, 태국, 튀르키예
멕시코 USMCA, 볼리비아, 에콰도르, 파라과이, 쿠바, 아르헨티나, 브라질, CPTPP, PA, 파나마, 우루과이,
페루, 콜롬비아, Central America(코스타리카, 엘살바도르, 과테말라, 온두라스, 니카라과), 일본, EFTA, 칠레, 이스라엘, EU, GSTP, LAIA, PTN, 영국
   
칠레 영국-에콰도르, 인도네시아, CPTPP, 태국, PA, 베트남, 홍콩, 니카라과, 말레이시아, 과테말라, 온두라스, 튀르키예, 콜롬비아, 페루, 호주, 인도, 파나마, 일본, 중국, TPSEP, EFTA, 한국, EU, 엘살바도르, 미국, 코스타리카, 멕시코, 캐나다    
페루 영국, 호주, 온두라스, 코스타리카, EU-콜롬비아, 파나마, 일본, 멕시코, 칠레, 한국, EFTA, 중국,
캐나다, 싱가포르, 미국
   
콜롬비아 멕시코, 엘살바도르, 과테말라, 온두라스, CAN, CARICOM, 칠레, EFTA, 캐나다, 미국, 메르코수르, 베네수엘라, 쿠바, EU, PA, 코스타리카, 한국, 니카라과, 이스라엘, 영국    
EU (발효) Western Balkans, 알제리, 안도라, CARIFORUM, 아르메니아, 아르제바이잔, SADC, Central America, 캐나다, 칠레, 콜롬비아, 에콰도르, 페루, ESA, West Africa, 이집트, 페로 제도, 피지, 조지아, 아이슬란드, 이스라엘, 이라크,
일본, 요르단, 카자흐스탄, 코소보, 레바논, 리히텐슈타인, ESA, 멕시코, 몰도바, 모로코, 노르웨이,
팔레스타인 당국, 파푸아뉴기니,
마다가스카, 사모아, 산마리노,
싱가포르, 솔로몬제도, 남아프리카, 한국, 스위스, 튀니지, 튀르키예,
우크라이나, 베트남, 영국

(서명 및 타결) Mercosur, 베냉,
토코, 부르키나파소, EAC,
카보베르데, 감비아, 기니,
기니비소, 아이티, 라이베리아, 말리, 모리타니, 니제르, 나이지리아,
세네갈, 시에라리온
호주, 중국, 인도네시아, 뉴질랜드, 필리핀  
EFTA 알바니아,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조지아, 북마케도니아,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튀르키예, 우크라이나, 이집트, GCC, 이스라엘, 요르단, 레바논, 모로코, 팔레스타인, SACU, 튀니지, 캐나다, 칠레, 콜롬비아, 에콰도르, 멕시코, 페루, 홍콩, 중국, 인도네시아, 한국, 필리핀, 싱가포르, 코스타리카, 과테말라, 파나마    
호주 뉴질랜드, 싱가포르, 미국,
칠레, ASEAN-뉴질랜드, 태국,
말레이시아, 한국, 일본, 중국, CPTPP, 홍콩, 페루, 인도네시아, PACER plus, RCEP, 영국, 인도
EU, GCC, UAE, PA  
뉴질랜드 (발효) 칠레-싱가포르, PACER plus, 호주, 아세안-호주, 홍콩,
말레이시아, 태국, 한국, P4, 중국,
싱가포르, CPTPP

(서명 및 타결) RCEP, 중국 개선,
영국, ACTA, GCC, TPP
EU, PA, AANZFTA 개선,
인도, RBK
 
튀르키예 (발효) EFTA, 이스라엘, 마케도니아,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팔레스타인, 튀니지, 모로코, 이집트, 알바니아, 조지아, 몬테네그로, 세리비아, 칠레, 모리셔스, 대한민국, 말레이시아, 몰도바, 페로 제도, 싱가포르, 코소보, 베네수엘라, 영국

(서명 및 타결) 레바논, 수단,
카타르
일본, 우크라이나, 인도네시아,
태국, 소말리아, 콩고, 지부티, 카메룬, 차드, 세이셸, GCC, 리비아, MERCOSUR, 미국, 캐나다, 인도, 베트남, 알제리, 리비아, 남아프리카, 중미, ACP
 
GCC 싱가포르    
EAEU 이란, 베트남, 세르비아    

* 일부 국가는 WTO RTA 홈페이지 자료로 작성, 실제 체결 여부와 상이할 수 있음

 문의: FTA정책기획과 임규리 주무관(044-203-5747)

배너전체보기
  • 이용안내
  • 개인정보보호정책
  • 저작권정책
  • 오시는 길
(우)30118 세종시 한누리대로 402 12동, 13동 산업통상자원부 대표전화 1577-0900 / 당직실 044-203-4000 (FTA콜센터 1380)
Copyrightⓒ2014 산업통상자원부. All Rights Reserved.
  • FTA콜센터1380
  • 관세율 정보
  • FTA추진현황
  • FTA협정문
  • 전세계FTA체결현황
  • 국가별FTA
    • 한미FTA
    • 한EU FTA
    • 한중FTA
    • 한중일FTA
    • 한베트남FTA
    • RCEP
  • 피해구제/분쟁해결
  • FTA용어사전
  • FTA지역별활용센터
  • FTA활용유관기관
  • FTA사이버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