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02월 기준
구분 | 상대국 | 추진현황 | 의의 | ||
---|---|---|---|---|---|
개시 | 서명 | 발효 | |||
발효 (17건) |
칠레 | 1999.12 | 2003.02 | 2004.04 | 최초의 FTA, 중남미 시장의 교두보 |
싱가포르 | 2004.01 | 2005.08 | 2006.03 | ASEAN 시장 교두보 | |
EFTA1) | 2005.01 | 2005.12 | 2006.09 | 유럽시장 교두보 | |
ASEAN2) | 2005.02 | 2006.08 (상품무역협정) |
2007.06 (상품무역협정) |
거대경제권과 체결한 최초의 FTA |
|
2007.11 (서비스협정) |
2009.05 (서비스협정) |
||||
2009.06 (투자협정) |
2009.09 (투자협정) |
||||
인도 | 2006.03 | 2009.08 | 2010.01 | BRICs국가, 거대시장 | |
EU3) | 2007.05 | 2010.10.06. | 2011.07.01. (잠정) 2015.12.13. (전체) *2011.07.01. 이래 만 4년 5개월 간 잠정적용 |
거대 선진경제권 | |
페루 | 2009.03 | 2011.03.21. | 2011.08.01. | 자원부국 중남미 진출 교두보 |
|
미국 | 2006.06 | 2007.06 | 2012.03.15. | 세계 최대경제권 (GDP기준) |
|
2018.01 (개정협상) |
2018.09.24. (개정협상) |
2019.01.01. (개정의정서) |
|||
터키 | 2010.04 | 2012.08.01. (기본협정·상품무역협정) |
2013.05.01. (기본협정·상품무역협정) |
유럽·중앙아 진출 교두보 | |
2015.05.26. (서비스·투자협정) |
2018.08.01. (서비스·투자협정) |
||||
호주 | 2009.05 | 2014.04.08. | 2014.12.12. | 자원부국, 오세아니아 주요시장 |
|
캐나다 | 2005.07 | 2014.09.23. | 2015.01.01. | 북미 선진시장 | |
중국 | 2012.05 | 2015.06.01. | 2015.12.20. | 우리의 제1위 교역대상국 (’19년 기준) |
|
뉴질랜드 | 2009.06 | 2015.03.23. | 2015.12.20. | 오세아니아 주요시장 | |
베트남 | 2012.08 | 2015.05.05. | 2015.12.20. | 우리의 제5위 투자대상국 (’19년 기준) |
|
콜롬비아 | 2009.12 | 2013.02.21. | 2016.07.15. | 자원부국, 중남미 신흥시장 | |
중미5개국4) | 2015.06 | 2018.02.21. | 2021.03.01. 전체발효 | 중미 신시장 창출 | |
영국 | 2017.02 | 2019.08.22. | 2021.01.01. | 브렉시트 이후 한영 통상관계 지속 |
구분 | 상대국 | 추진현황 | 의의 |
---|---|---|---|
서명 | RECP5) | 2012.11.20. 협상개시 선언 2013.05~2020.07 31차례 공식협상 개최 2019.11.04. 15개국 협정문 타결 2020.11.15 RCEP 서명 |
동아시아 경제통합 기여 |
인도네시아 CEPA | 2019.02.19. 협상재개선언 2012.07~2019.10 총 10차례 협상 개최 2019.11.25. 협상타결선언 2020.12.18. 정식서명 |
동남아 시장 진출 확대 기여 |
|
타결 | 이스라엘 | 2016.05 협상개시 2016.06~2018.03 총 6차례 공식 협상 개최 2019.08.21. 한-이스라엘 FTA 타결공동선언 |
창업국가 성장모델 |
캄보디아 | 2020.07 협상개시 선언 2020.07~2020.11 4차례 협상 개최 2021.02.03 한-이스라엘 FTA 타결공동선언 |
동남아 시장 진출 확대 기여 |
|
협상진행 | 한중일 | 2012.11.20. 협상개시선언 2013.03~2019.11 16차례 공식협상 개최 |
동북아 경제통합 기반 마련 |
MERCOSUR6) | 2018.05 협상개시 공식선언 2018.09~2020.02 5차례 공식협상 개최 *회원국 자격 정지 상태인 베네수엘라 제외, 4개국과 진행 |
남미 최대 시장 | |
필리핀 | 2019.06 협상개시 2019.06~2020.01 5차례 협상 개최 |
동남아 시장 진출 확대 기여 |
|
러시아 | 2019.06 한-러시아 서비스·투자 FTA 협상개시 선언 2019.06~2020.07 5차례 협상 개최 |
신북방 정책추진, 거대신흥시장 |
|
말레이시아 | 2019.06 협상개시 선언 2019.07~2019.09 3차례 협상 개최 |
동남아 시장 진출 확대 기여 |
|
한-에콰도르 SECA |
2015.08 협상개시 선언 2016.01~2016.11 5차례 협상 개최 |
자원부국, 중남미 시장 진출 교두보 |
|
한-아세안 추가 자유화 |
2010.10~2019.2 17차례 이행위원회 개최 | 교역확대,통상환경 변화 반영 |
|
한-인도 CEPA 업그레이드 |
2016.10~2019.06 8차례 개선협상 개최 | 주력 수출품목양허· 원산지기준 개선 |
|
한-칠레 FTA 업그레이드 |
2018.11~2020.11 4차례 개선협상 개최 | 통상환경 변화 반영 | |
한중 FTA 서비스·투자 후속협상 |
2018.03~2020.10 9차례 서비스·투자 후속협상 개최 | 우리의 제1위 서비스수출국 |
|
재개,개시, 여건조성 |
PA | 2018.05 국회보고 2019.09 PA ToR협의개시 |
중남미 신흥 시장 |
EAEU | 2016.10~2017.04 3차례 한·EAEU 정부간 협의회 개최 2017.09 한-러 정상회담 계기, FTA 협의를 위한 공동 실무 작업반 설치 합의 (*EAEU: 러시아, 카자흐스탄, 벨라루스, 아르메니아, 키르기즈스탄) |
신북방정책 교두보 확보 | |
우즈베키스탄 | 2021.01 협상개시선언 2020.09 국회보고 등 우리측 국내절차 완료 |
중앙아 최대시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