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FTA일반
    • FTA 개념
    • FTA 주요 내용
    • 우리나라 FTA체결현황
    • 전세계 FTA 체결현황
  • 우리나라의 FTA
    • FTA정책요약
    • 발효
      • 한-칠레 FTA
      • 한-싱가포르 FTA
      • 한-EFTA FTA
      • 한-ASEAN FTA
      • 한-인도 CEPA
      • 한-EU FTA
      • 한-페루 FTA
      • 한-미 FTA
      • 한-터키 FTA
      • 한-호주 FTA
      • 한-캐나다 FTA
      • 한중FTA
      • 한-뉴질랜드 FTA
      • 한-베트남 FTA
      • 한-콜롬비아 FTA
      • 한-중미 FTA
      • 한-영 FTA
      • 역내 포괄적 경제 동반자협정(RCEP)
      • 한-이스라엘 FTA
      • 한-캄보디아 FTA
      • 한-인도네시아 CEPA
    • 서명/타결
      • 한-필리핀 FTA
      • 한-에콰도르 TA
      • 한-UAE CEPA
      • 한-GCC FTA
    • 협상중
      • 한중일FTA
      • 한-MERCOSUR FTA
      • 한-러시아 FTA
      • 한-말레이시아 FTA
      • 한-우즈베키스탄 STEP
    • 재개개시여건조성
      • 한-멕시코 FTA
      • 한-PA FTA
  • 프린트하기

한-인도_CEPA

한-인도 FTA 타결의 의의 신흥 거대시장의 선점 가능성 > 일본, 중국, EU 등 주요 경쟁국에 앞서 FTA를 맺어 우리 기업의 거대 경제권인 인도 시장 선점가능 / 수출 증대 효과 > 인도의 보호무역주의가 강화되는 가운데, 우리의 가격 경쟁력 제고, 인도 정부의 반덤핑 조치 발동 완화를 통하여 수출증대 가능 / 다양한 투자 기회 제공 > 인도의 민감한 1차 산업을 제외한 음-식료품, 섬유, 의류 등 약 20개 분야를 개방하여 제조업 전반에 걸쳐 투자 허용 / 소비자 후생 증가 > 수입 제품가격 하락과 제품, 서비스 선택폭 확대로 후생 증가 / 남아시아 국가 진출의 교두보 마련 > 인도와의 경제통상협력관계를 구축, 추후 인도의 근접국가들과 경제렵력 관계 형성 가능
 인도시장의 중요성
인도는 약 12억 인구(세계2위)의 시장을 보유하고 있고, 구매력 평가기준 GDP 규모가 약 8조달러로
세계 3위인 거대 신흥 거대시장('15년 IMF 기준)
아직 경제개발 초기단계이나, 신흥 경제국 중 하나로 성장잠재력이 큰 경제권
2014년 기준 우리나라와의 교역액은 약 181억달러로, 주요 수출입품목으로는 차량용 부품과 석유 등을 들 수 있음
배너전체보기
  • 이용안내
  • 개인정보보호정책
  • 저작권정책
  • 오시는 길
(우)30118 세종시 한누리대로 402 12동, 13동 산업통상자원부 대표전화 1577-0900 / 당직실 044-203-4000 (FTA콜센터 1380)
Copyrightⓒ2014 산업통상자원부. All Rights Reserved.
  • FTA콜센터1380
  • 관세율 정보
  • FTA추진현황
  • FTA협정문
  • 전세계FTA체결현황
  • 국가별FTA
    • 한미FTA
    • 한EU FTA
    • 한중FTA
    • 한중일FTA
    • 한베트남FTA
    • RCEP
  • 피해구제/분쟁해결
  • FTA용어사전
  • FTA지역별활용센터
  • FTA활용유관기관
  • FTA사이버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