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TO 협정 부속서 4의 복수국간무역협정(plurilateral trade agreement)들은 부속서 1(상품), 2(서비스), 3(분쟁해결)의 다자무역협정들과 달리 동 협정에 가입한 WTO 회원국에 대해서만 법적 구속력을 갖습니다. 이러한 복수국간 협정은 1995년 WTO 설립 당시에는 민간항공기협정, 정부조달협정, 국제낙농협정, 국제우육협정 등 4가지가 있었으며, 낙농, 우육협정은 1997.12.31일자로 종료되었습니다. (우리나라는 정부조달협정에만 참여 중)
- 이 외에도 WTO에는 1996년 체결된 정보기술협정(ITA: Information Technology Agreement)과 같이 일부 회원국들(체결 당시 29개국)만이 참여한 무역협정도 있지만, 위에서 언급한 일반적인 의미의 WTO 복수국간무역협정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정보기술협정은 참여국들 사이에서만 IT제품 관세철폐의 의무를 지는 것이 아니라, 모든 WTO 회원국들에게 협정품목 관세철폐 혜택을 제공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 또한 최근에는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일부 WTO 회원국들을 중심으로 복수국간서비스협정(TISA), 환경상품협정(EAG) 등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1.정부조달협정 (GPA)
명칭 | 정부조달에 관한 협정(GPA: Agreement on Government Procurement) |
---|---|
개념 |
|
참여국 |
|
추진배경 |
|
최근 주요쟁점 |
|
2. 정보기술협정(Information Technology Agreements : ITA)
명칭 | 정보기술제품 무역에 관한 각료선언 (Ministerial Declaration on Trade in Information Tehchnology Products) |
---|---|
배경 및 양허내용 |
|
참여국 |
|
명칭 | 정보기술제품 무역확대에 관한 각료선언 (Ministerial Declaration on Trade in Information Tehchnology Products) | ||
---|---|---|---|
배경 |
|
||
참여국 |
|
||
최근 동향 |
|
||
양허표
* 각국 국내절차 완료 후 최종확정 예정 |
우리나라 |
국문본 | 영문본 |
Albania |
![]() |
||
Australia |
![]() |
||
Canada |
![]() |
||
China |
![]() |
||
Colombia |
![]() |
||
Costa Rica |
![]() |
||
EU |
![]() |
||
Guatemala |
![]() |
||
Hong Kong |
![]() |
||
Iceland |
![]() |
||
Israel |
![]() |
||
Japan |
![]() |
||
Malaysia |
![]() |
||
Mauritius |
![]() |
||
Montenegro |
![]() |
||
New Zealand |
![]() |
||
Norway |
![]() |
||
Philippines |
![]() |
||
Singapore |
![]() |
||
Switzerland |
![]() |
||
Taiwan |
![]() |
||
Thailand |
![]() |
||
US |
![]() |
||
WTO 홈페이지 | WTO 홈페이지 |
3. 복수국간서비스협정(TISA)
명칭 | 복수국간서비스협정(Trade In Services Agreement) |
---|---|
개념 |
|
추진배경 |
|
참여국 |
|
주요쟁점 |
|
4. 환경상품협정(EGA)
명칭 | 환경상품협정(Environmental Goods Agreement) |
---|---|
개념 |
|
추진배경 |
|
참여국 |
|
주요쟁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