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05월 01일
한·튀르키예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유명 신흥국으로 주목받는 튀르키예는 지정학적 중요성, 시장 잠재력, 거대시장 인접성 등 유망시장 조건을 갖추고 있는 주요 국가입니다.
또한, 튀르키예는 EU와 관세동맹을 체결한데다, 유럽에 비해 저렴하고 풍부한 노동력을 갖추었다는 장점 때문에 글로벌 기업의 생산기지로 투자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한-튀르키예 FTA 타결의 의의
-
지정학적 중요성
유럽-아시아-중동을 연결하는 지정학적 요충지, 이슬람문화권으로 중동시장의 관문, 중앙아시아 및 아프리카 교두보역할도 수행
-
경제적 잠재력
'11년 튀르키예는 IMF 등 주요국제기구 예상치(7.5%)보다 높은 경제성장률(8.5%를)을 기록
-
국제적 평가 개선
세계 주요 신용평가사 무디스, 피치 등이 튀르키예 신용등급을 상향조정하면서 튀르키예 시장의 중요성이 주목
-
거대시장 진출의 교두보
세계 최대 경제규모의 EU시장 진출 교두보로서 활용가치가 상당 ('95.12월 EU와 관세동맹체결)
튀르키예의 중요성
- '16년 기준 튀르키예의 GDP규모는 8,577억 달러, 1인당 국민소득은 11,180억 달러이며 현재 꾸준히 증가 추세임
- 튀르키예는 '12년 기준 7천 4백만명 거대한 내수시장을 보유, 특히 젊은 층 인구가 많아 풍부한 노동력과 향후 구매력 확대 기대
- 對튀르키예 수입품은 농수산물 비중이 작고, 주로 광물제품을 수입하고 있어 관세 철폐의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보이는 반면, 우리의 주력 수출품인 공산품은 7년내 전 품목의 관세 철폐 효과 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