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FTA 강국,KOREA

통합검색
통합검색
메뉴

한-튀르키예 FTA

2013년 05월 01일

한·튀르키예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한국 국기 튀르키예 국기

유명 신흥국으로 주목받는 튀르키예는 지정학적 중요성, 시장 잠재력, 거대시장 인접성 등 유망시장 조건을 갖추고 있는 주요 국가입니다.

또한, 튀르키예는 EU와 관세동맹을 체결한데다, 유럽에 비해 저렴하고 풍부한 노동력을 갖추었다는 장점 때문에 글로벌 기업의 생산기지로 투자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한-튀르키예 FTA 타결의 의의

  1. 지정학적 중요성

    유럽-아시아-중동을 연결하는 지정학적 요충지, 이슬람문화권으로 중동시장의 관문, 중앙아시아 및 아프리카 교두보역할도 수행

  2. 경제적 잠재력

    '11년 튀르키예는 IMF 등 주요국제기구 예상치(7.5%)보다 높은 경제성장률(8.5%를)을 기록

  3. 국제적 평가 개선

    세계 주요 신용평가사 무디스, 피치 등이 튀르키예 신용등급을 상향조정하면서 튀르키예 시장의 중요성이 주목

  4. 거대시장 진출의 교두보

    세계 최대 경제규모의 EU시장 진출 교두보로서 활용가치가 상당 ('95.12월 EU와 관세동맹체결)

튀르키예의 중요성

  1. '16년 기준 튀르키예의 GDP규모는 8,577억 달러, 1인당 국민소득은 11,180억 달러이며 현재 꾸준히 증가 추세임
  2. 튀르키예는 '12년 기준 7천 4백만명 거대한 내수시장을 보유, 특히 젊은 층 인구가 많아 풍부한 노동력과 향후 구매력 확대 기대
  3. 對튀르키예 수입품은 농수산물 비중이 작고, 주로 광물제품을 수입하고 있어 관세 철폐의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보이는 반면, 우리의 주력 수출품인 공산품은 7년내 전 품목의 관세 철폐 효과 기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