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FTA 강국,KOREA

통합검색
통합검색
메뉴

한-뉴질랜드 FTA

2015년 12월 20일

한·뉴질랜드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한국국기 뉴질랜드국기

양국간 FTA는 상생협력을 통해 양국의 강점을 공유하고 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제도적 틀을 도입하였습니다. 또한 높은 수준의 시장개방을 통해 상호 보완적인 경제·무역구조*를 가진 양국간 무역 및 투자 확대가 기대됩니다.

* (한→뉴) 승용, 건설중장비, 화물자동차 등 주로 수출
   (한→뉴) 승용, 건설중장비, 화물자동차 등 주로 수출

한-뉴질랜드 FTA 타결의 의의

  1. 아시아-태평양-오세아니아를 잇는 FTA망 심화
    1. 뉴질랜드는 한국과 마찬가지로 다수의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들과 FTA 체결을 완료했으며, 한국의 함께 RCEP(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에도 참여하고 있어 우리의 전략적 FTA 활용 극대화 가능
  2. 상호보완적 무역구조를 활용한 무역확대
    1. 1인당 GDP 4만불 이상의 높은 구매력을 가진 중견 선진국이자, 공산품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는 뉴질랜드 경제 특성을 감안, 우리와 상호 보완적인 무역 확대 기대
  3. 뉴질랜드 시장 내 경쟁조건 개선
    1. 뉴질랜드 시장에서 이미 다수의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들이 FTA 특혜 관세를 향유하고 있는 점을 감안, 우리 기업들이 불리하지 않은 여건에서 활동할 수 있는 토대 마련
  4. 농림수산협력, 인력진출 활성화 등의 토대 마련
    1. 한-뉴질랜드 FTA를 통해 농림수산분야에서 뉴질랜드의 선진기술을 공유하고 우리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제도적 틀을 도입했으며, 워킹홀리데이 제도 확대 개선, 일시고용입국, 농축수산업 훈련비자 제도 도입을 통해 우리 인력의 해외진출 확대 기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