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FTA 강국,KOREA

통합검색
통합검색
메뉴

한-캄보디아 FTA

2022년 12월 01일

한-캄보디아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한국 국기 캄보디아 국기

캄보디아는 베트남, 태국, 라오스를 연결하는 메콩지역의 허브이자 성장잠재력이 큰 국가인 바, 한-캄보디아 FTA 체결을 통해 아세안 내 시장 접근 공고화 및 공급망 다변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한-캄보디아 FTA 타결의 의의

  1. 아세안 시장확대
    1. 베트남, 태국, 라오스를 연결하는 메콩지역의 허브로, 성장잠재력이 큰 캄보디아*와의 FTA로 아세안 내 시장 접근 공고화

      ※ 캄보디아는 지난 10년간 연 7%대 이상 경제 성장을 기록 중이며(단, '20년은 코로나 19로 ?2% 성장), 35세 이하 인구 약 65%로 높은 성장잠재력 보유

  2. 시장접근 개선
    1. RCEP과 함-캄보디아 FTA를 통해 최종적으로 우리는 전체 품목 중 95.6%, 캄보디아는 93.8%의 관세를 철폐
    2. 화물자동차, 섬유, 기계 등 주력품목의 관세철폐 확보로 캄보디아의 산업발전과 연계한 교역 확대, 밸류체인 강화*기대

      ※ 첨유 : 캄측은 편직물 (7%), 우리 측은 의류(5%)의 관세를 철폐, 상호교역 증대

  3. 공급망 다변화
    1. 코로나19 확산 등으로 역내 공급망(PVC)이 재편되는 과정에서 우리기업은 신규 생산거점으로 캄보디아* 진출 가능

      ※ '20.2월 중국산 자동차 부품 수급 차질로 현대·기아 자동차의 생산 중간 위기 시, 캄보디아에서 생산한 부품(와이어링 하네스) 구입으로 생산 재개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