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04월 01일
한·칠레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한 · 칠레 FTA는 우리나라의 첫 FTA이며, 태평양을 사이에 둔 국가끼리의 첫 FTA라는데 의의가 있습니다.
또한, 지구 반대편의 유망시장인 중남미로 우리 기업의 활동반경을 넓히고 수출시장을 다변화 하는데 필요한 인프라를 구축하였다는 점에서 한 · 칠레 FTA타결이 주는 의미는 크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이로써 우리나라도 드디어 FTA체결 국가 대열에 합류하게 된 것입니다.
한-칠레 FTA 타결의 의의
-
우리나라의 첫 FTA
우리나라 FTA 추진의 시발점
-
태평양을 사이에 둔(Trans-Pacific) 국가 간의 첫 FTA
남미권과의 FTA 체결을 추진하고 있는 아시아 각국 중 첫 성공사례
-
통상정책 수단의 다원화
WTO 체제의 무역 자유화와 별도로 우리 실정을 적절히 반영한 무역 자유화 방식(FTA)을 채택
-
상호호혜적 이익을 최대한 반영한 FTA
칠레는 아시아지역의 교역확대를 위한 중요한 계기를 마련하였고, 우리는 중남미시장 진출의 교두보를 확보
-
대외신뢰도 제고
우리는 대외개방 및 내부 개혁 의지를 대내외에 과시함으로써 대외신뢰도를 크게 제고함
칠레시장의 중요성
- 칠레는 일정 수준의 경제적 효과를 도모하면서 동시에 양자간 무역자유화가 우리 산업에 끼치는 영향을 적절히 관리할 수 있는 규모의 중견국가
* GDP규모 3,100억 달러(세계 48위), 1인당 GDP 16,265 달러(세계 65위, '22년 IMF기준)
- 칠레는 과감한 개혁정책으로 개방적이고 투명하며, 안정적인 경제제도를 구축하고 있는 잠재력이 큰 시장
- 칠레는 최근 디지털 경제로의 급속한 전환, 한류문화 확산 등으로 인하여 우리 IT 산업, 문화 산업 등의 진출 유망 시장
- 칠레는 향후 중남미 시장 진출의 교두보로서 중요